2025. 9. 25. ~ 2025. 11. 16.
남풍이 불어 산을 잠기게 하고, 물은 전쟁처럼 사람을 덮쳤다.
신들마저 두려워 울부짖으며 피했고, 여섯 낮과 일곱 밤을 휩쓴 태풍은 마침내 그치자,
모든 인간은 흙으로 돌아갔다. — 길가메시 서사시, 우트나피쉬팀 이야기 중
《대홍수를 건너는 법Crossing the Great flood》은 노아의 방주, 길가메시 서사시 우트나피쉬팀 이야기로 익숙한 신화의‘대홍수 서사(Flood Myth)’에서 영감을 받아 출발한다.
전시는 여덟 명의 예술가들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재난적 상황을 새롭게 바라보고, 이를 건너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한다.
신화 속 대홍수는 오늘날에도 각기 얼굴을 한 채 우리 앞에 밀려온다. 기후위기, 질병, 전쟁이라는 매번 새로운 이름의 홍수가 세상을 뒤집으면,
저 아래에 고개를 숨기고 있던 것들이 솟구쳐 오르기 시작한다. 권력과 기술의 격랑, 또 다른 폭력의 범람…. 우리는 이 홍수를 잘 견뎌낼 수 있을까?
8명의 작가, 10개의 작품을 통해 우리는 대홍수를 마주하고, 건너지 못한 이들을 기리며, 홍수를 건너는 여러 횡단 경로를 살펴본다.
김준서는 대형 오션드럼이 내는 불규칙한 파도소리를 시각 기호인 디지털 입자로 변환한다.
청각 기호는 시각 기호로 잠시 구조화되지만, 파도가 부서져 없어지듯 디지털 기호 역시 매 순간 다른 형태로 흩어진다.
오민수는 배달 노동자들의 발이었던 오토바이 치마커버로 거대한 천사의 날개를 형상화한다. 시대의 변화를 건너 유토피아를 소망했으나 미처 입성하지 못한 이들을 기린다.
리 카이 청은 이데올로기와 전쟁이라는 거대한 재난 앞에 선 개인과 집단의 불안을 파헤친다.
김대천은 강의 범람에 따른 주변 도시들의 변화를 통해 자연에 대응하는 기술의 범람이 어디까지 우리를 지켜줄지 반문한다.
이연숙, 박고은의 작업은 문명과 역사가 홍수에 휩쓸릴 때에도 기억해야할 것을 지켜내는 행위 그 자체의 의미를 논하고, 이것이 곧 대홍수를 건너는 키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정혜정과 서울익스프레스는 거대한 홍수 앞에서 이를 마주하는 나와 타자의 공생, 상호간 존재성의 연결이 가지는 힘의 의미를 건넨다.
전시는 도시개발의 파도가 지나고 폐허로 방치되던 옛 소각장 부천아트벙커B39의 독특한 공간성과 어우러져, 홍수의 잔해들이 남긴 의미를 증폭시킨다.
특히 미디어 작품 5점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제작 지원을 통해 창·제작한 작품으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협력 전시 공모 사업을 통해 부천아트벙커B39에서 소개된다.
재난과 붕괴, 그리고 재창조의 반복 속에서도 꿋꿋이 세계를 다시 쓰려는 이들이 있다.
이 전시를 통해 앞으로 밀어닥칠 흐름 속에서 우리는 어떤 항로를 선택하고, 내 방주에 누구를 태울지, 어떤 노를 쥐고 건널지 스스로 묻게 되길 바란다.
BCF X ACCF 미디어아트 협력 기획전시 《대홍수를 건너는 법
- 전시기간 : 2025. 9. 25.(목) ~ 11. 16.(일)
- 관람시간 : 화~일요일(월·공휴일 휴관) 10:00 ~ 17:00
- 관람방법 : 무료 / 별도의 예약 없이 자유 관람 가능
- 장 소 : 부천아트벙커B39
- 전시부문 : 미디어, 설치 10점
- 참여작가 : 김대천, 김준서, 리 카이 청, 박고은, 서울익스프레스, 오민수, 이연숙, 정혜정
- 협 력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 주최·주관 : (재)부천문화재단-부천아트벙커B39
Read more +